충남교총 이준권회장-“학원 홍보가 공교육 모욕으로” 이유원 회장에 즉각 사과 촉구

  • 등록 2025.08.27 14:17:06
크게보기

충남교총 “공교육 훼손 시도 결연히 저지”… 교권 수호 최전선 천명

[대한민국교육신문. 김윤환기자 kyh@kedupress.com]

 

국회의원회관 토론회에서 한국학원총연합회 이유원 회장이 “학교 교사들은 학원 교사보다 실력이 부족하다”라고 한 발언을 “공교육 모욕”으로 규정하고 강력 규탄에 나섰다. 충남교총은 즉각적인 공개 사과와 발언 철회를 요구하며, 늘봄학교 방과후 과정에 대한 ‘사교육 침투’도 단호히 막겠다고 밝혔다.

 

충남교총(회장 이준권)-학원연합회장의 교사 모욕 발언에 대한 규탄

“학교 선생님들이 학원 선생님에 비해서 실력이 떨어진다?”

때와 장소도 구분 못하는 실언, 교육 현장에 깊은 상처!

교사의 전문성과 헌신을 폄훼한 발언, 교육 현장 모욕!

학원 홍보하다 자충수... 교직단체들은 공동 대응 나서야

 

1. 충남교총(회장 이준권)은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한국학원총연합회 이유원 회장이 “학교 교사들은 학원 교사보다 실력이 부족하다”는 망언을 한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 국회라는 엄중한 공적 공간에서 학원을 홍보하려다 대한민국 교사 전체를 모욕하는 치명적 자충수를 둔 것이다.

 

2. 이유원 회장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못한 채 무책임하고 경솔한 실언을 서슴지 않았다. 교육 정책을 논의하는 엄숙한 자리에서 사교육계의 리더가 사교육 우월주의를 드러내며 공교육을 짓밟은 것은 토론자로서의 최소한의 자질마저 결여된 행태다.

 

3. 이번 발언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다. 교사들의 숭고한 헌신과 전문성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교육 현장의 존엄을 무참히 짓밟은 용서받을 수 없는 모욕이다. 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공동체적 역량을 기르는 교사의 사명을 무시하고, 교육을 단순한 지식 전달 경쟁으로 전락시킨 이 망언은 교육의 본질을 심각하게 훼손했다.

 

4. 이 발언은 온종일 아이들을 위해 헌신하는 전국 교사들의 가슴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수업 준비와 생활지도, 끝없는 상담과 행정업무 속에서도 묵묵히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땀 흘리는 교사들의 숭고한 노고를 한순간에 모독한 것이다.

 

5. 충남교총은 이유원 회장이 지체 없이 공개 사과하고 망언을 즉각 철회할 것을 엄중히 요구한다. 학원 홍보에 혈안이 되어 공교육을 능멸한 대가는 반드시 치러야 한다. 진정성 있는 사과와 깊은 반성 없이는 그 어떤 교육 논의의 장에도 발을 들일 자격이 없다.

 

6. 특히 토론회 중 드러난 늘봄학교 방과후 과정에 학원이 침투하려는 시도는 절대 용납할 수 없다. 학교 방과후 과정에 학원이 진입하면 학생과 학부모는 막대한 추가 비용을 떠안게 된다. 충남교총은 그 어떤 형태로든 사교육이 늘봄학교를 잠식하는 것을 결단코 저지할 것이다.

 

7. 충남교총은 전국의 모든 교직단체가 이번 망언에 일치단결하여 강력히 대응할 것을 촉구한다. 이념과 노선을 초월하여 모든 교직단체가 하나 되어 교사의 명예를 회복하고 교권을 사수해야 한다.

 

8. 이준권 회장은 “학원을 홍보하려다 전국 수십만 교사 전체를 적으로 만든 이유원 회장의 망언은 사교육계 리더의 천박한 수준을 만천하에 드러낸 것”이라며 “교사들이 받은 깊은 상처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와 함께, 공교육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갖출 때까지 우리는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단호히 밝혔다.

 

9. 충남교총은 앞으로도 교사를 모욕하고 공교육을 훼손하는 그 어떤 시도에도 결연히 맞설 것이며, 전국의 교직단체와 굳건히 연대하여 교권 수호의 최전선에 설 것을 엄숙히 선언한다. 끝.

 

 

충남교총은 이번 발언을 교권 수호의 분기점으로 규정했다. 단체는 “진정성 있는 공개 사과와 망언 철회 없이는 어떤 교육 논의의 장에도 설 자격이 없다”는 강경 기조를 분명히 하며(2025년 8월 27일 배포 성명), 향후에도 공교육 훼손 시도에 결연히 맞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무엇보다 이준권 회장은 “교사들이 받은 깊은 상처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와 공교육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갖출 때까지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천명했다. 이 메시지는 개별 단체의 분노 표출을 넘어, 전국 교직단체의 연대 행동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교육 현장을 둘러싼 오랜 갈등을 단절이 아닌 개선의 계기로 삼으려면, 발언 당사자의 책임 있는 대응과 제도 개선 논의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번 논란은 결국 누가 더 잘 가르치는가의 승부가 아니라, 아이들과 가정이 감당할 비용과 학교가 보장해야 할 공공성의 문제로 귀결된다. 방과후 과정의 공공성 원칙을 재확인하고, 학교·지자체·민간의 협력 구조를 투명하고 예측 가능하게 설계할 때만 현장의 신뢰가 회복될 것이다. 충남교총이 밝힌 대로 “교사의 명예를 회복하고 교권을 사수”하려는 노력은 그 자체로 목적이자, 동시에 더 나은 방과후 체계를 위한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김윤환 kyh@kedupress.com
Copyright @대한민국교육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