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6℃구름많음
  • 강릉 4.7℃맑음
  • 서울 5.5℃맑음
  • 대전 3.6℃맑음
  • 대구 2.6℃맑음
  • 울산 4.8℃구름많음
  • 광주 4.6℃맑음
  • 부산 7.1℃맑음
  • 고창 -0.9℃맑음
  • 제주 7.8℃맑음
  • 강화 0.3℃맑음
  • 보은 0.1℃맑음
  • 금산 0.4℃맑음
  • 강진군 0.9℃맑음
  • 경주시 1.0℃맑음
  • 거제 2.9℃맑음
기상청 제공

2025.04.02 (수)

학생부는 역량을 보여줄 문서다 (1)

학생부와 학종의 긴밀한 관계를 이해하자


학생부학교생활기록부의 줄임말이야. 줄여서 ‘학생부’ 혹은 ‘생기부’라고 표현하지.

이외에도 학생부의 각 항목을

창체(창의적 체험활동),

세특(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행특(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개세특(개인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등으로 줄여서 사용하고 있어.

 

학종이라 불리는 ‘학생부종합전형’은 고교 재학 동안 학교생활을 통해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을 어떻게 발전시켜 왔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해. 말 그대로 학생부를 통해 학생의 여러 측면을 종합적으로 보겠다는 뜻이야. 학생부종합전형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학생부가 합격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지. 평가방식은 정성평가야. 정성평가는 뭘까? 다음 설명을 봐.

 

[정성평가의 의미]

정성평가  VS  정량평가

정성평가는 성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입학 학과의 자체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는 의미야.

정성평가정량평가를 쉽게 말하면 양(Quantity)과 질(Quality)의 차이라고 할 수 있어.

어떤 문제에 답이 명확하게 존재하고 점수를 객관적으로 매길 수 있으면 정량(定量)평가,

주관적이면 정성(定性)평가지.

물론 정성평가에도 점수 척도가 있어. 점수제가 있고, 정해진 척도가 분명히 있지.

 


※ 요약정리

*정량평가: 양, 객관적, 학업성취도, 시험 결과나 등급 등 수치화된 정보를 기준으로 평가

*정성평가: 질, 주관적, 공동체역량, 진로역량, 발전가능성, 면접 등 수치화되지 않는 평가 요소를 기준으로 평가


 

간혹 성적이 낮은데도 몇 등급 윗선의 대학에 합격했다는 사례를 들어 본 적이 있을 거야. 이때 합격의 비밀은 바로 학생부에 있어. 학생부에 기록된 내용으로 평가했더니 다른 학생들보다 월등히 나은 ‘무엇’이 있다는 의미인데, 아쉽게도 일반 학생들은 선배들의 합격 비밀을 알아내 자신에게 적용할 생각을 하지 못하고 있지. 천만다행으로 그 비밀을 안다고 해도,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학생부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무슨 활동을 해야 진학에 유리한 기록이 되는지를 몰라. 그래서 앤티처와 빈이 엄마가 그 비밀을 찾아내 이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려고 이 책을 쓰고 있어!

 

이제부터 관심을 가지고 칼럼을 잘 읽고 실천하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거야!

그럼 다음 칼럼에서 만나!

 

 


 

빈이엄마

특목고 입시 준비와 인서울 대학 입학 노하우를 공유하는 입시전문가

앤티처교육정보카페 부매니저

서울 미양고등학교 학교운영위원장

서울 성신여자고등학교 학부모회장

국어국문학과 아동학 전공

chohye0417@naver.com

 

Ann Teacher(안혜숙)

소외된 지역과 이웃에게 진로진학 정보 나눔을 힘쓰는 진로진학전문가

현직 수석교사, 작가, 강연자, 팟캐스트 진행자

EBS 원격연수원, 티처빌, 티셀파연수원 강사

앤티처블로그, 앤티처교육정보카페 운영자

 

 

앤티처 빈이엄마의 학생부 ONE PICK(원픽) 전략

-명문대 입학 학생부의 비밀, 독서로 쌓는 과제탐구 활동, 맛깔나는 학교생활-

 

 

[대한민국교육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