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교육신문] 경상북도는 10일 국립경국대학교 국제교류관에서 ‘국립경국대학교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번 출범식은 2023년 교육부 글로컬 대학으로 국립안동대와 경북도립대가 선정되어 제시한 대학 혁신 과제의 후속 조치로서, 전국 최초 국공립대학 통합 모델로 새롭게 출범하는 ‘국립경국대학교’의 공식적인 첫걸음을 기념하는 자리다. 이날 행사에는 이주호 교육부총리, 이철우 경북도지사, 박성만 경북도의회의장, 임종식 도교육감, 권기창 안동시장, 김학동 예천군수, 김형동 국회의원, 정태주 국립경국대 총장 등 대학 관계자, 교육부와 관계 기관 관련자, 지역 인사, 동문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출범식에서는 통합 이행협약 체결, 대학 이상 선포, 국립경국대 UI 소개, 기념식수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됐다. 특히, 국립경국대학교 통합 이행협약은 교육부 장관, 경상북도지사, 국립경국대학교 총장이 함께 체결하고, 이를 통해 통합 이후 대학의 지속적인 발전과 지역사회 기여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국립경국대학교는 ‘진리, 성실, 창조’의 교육 방침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사회와 국가 발전에 기여를 교육 목표로 한다. 또한, ‘미래
[대한민국교육신문] 경북교육청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초 3․4학년, 중․고 1학년 영어, 수학, 정보 교과에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1월 겨울방학 중 실시한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희망 조사에서 도내 약 3분의 1의 학교가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2월 중 개학과 신학기 준비 기간을 거치며 50% 이상의 학교가 도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교육청은 오는 4월까지 신청받아 본격적인 운영에 나설 계획이다. 경북교육청은 AI 디지털교과서를 희망하는 학교들이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교육부의 추진 일정에 맞춰 선정 매뉴얼과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인프라 최종 점검을 진행하는 등 철저한 준비에 나섰다. 또한, 출판 업체와의 계약을 교육청이 직접 체결하여 학교의 행정적 부담을 줄이고, 구독료 전액을 지원할 방침이다. AI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함께, 학생들이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디지털 기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3월 중 ‘디지털 역량 교육 주간’을 도내 모든 학교에서 운영한다. 또한, 교원들이 AI 디지털교과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 설계 실습형 연수와 학교 방문 컨설팅 등 맞
[대한민국교육신문]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학부모지원센터에서 교육 주체이자 동반자인 학부모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2025 서울학부모배움과정 연수’를 3월 11일부터 시작한다. 2025 서울학부모배움과정 연수는 학부모들이 자녀의 교육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녀의 학습과 정서적 성장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건강한 학교 참여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부 교육과정은 △학부모의 기본 소양을 함양하는 기본교육 △전문성 및 자치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교육 △최신 정책변화에 맞춘 주제별 특별교육으로 3월부터 11월까지 추진된다. 연수는 서울 관내 자녀를 둔 학부모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서울학부모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회원가입 후 신청할 수 있다. 연수 방법은 바쁜 학부모들을 위해 실시간 온라인(zoom) 강의 위주로 진행되며, 생애주기를 고려한 교육, 주말을 활용한 교육, 찾아가는 학부모 교육 등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이 제공될 계획이다. 특히 2025년에는 ‘서울학부모지원센터 내실화 방안 마련 컨설팅’결과를 반영하여 학교폭력 예방교육 등의 학부모 법정의무교육을 학부모소양(의무)교육으로 개편하고, 관련 강의를 신설하여 확대 운영할 방
[대한민국교육신문] 제주도교육청 한림공업고등학교는 4일 본교 체육관 한숲홀에서 제74회 입학식을 개최했다. 특히 올해 신입생 205명은 협약형특성화고등학교 항공우주분야의 첫 입학생으로 더 높이 날아, 더 멀리 꿈을 이루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이날 입학식에는 강경문·이남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김동욱 한림읍장, 현재웅 ㈜한라산 대표, 윤창배 한화시스템 제주우주센터TF팀장, 조근배 한림공업고등학교총동창회 회장 등 많은 내빈들이 참석하여 신입생들의 첫 출발을 축하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축하 영상을 통해“한림공업고등학교 신입생은 현장 중심의 실무교육, 기업과 연계된 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제주 지역의 핵심 인재로 성장할 것”이라며“협약형특성화고의 성공적인 안착과 고교직업교육활성화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림공업고등학교총동창회에서는 이날 우수한 성적으로 입학한 학생 1명에게 장학 증서와 100만원의 장학금을, ㈜한라산에서는 학생 4명에게 장학금 각 50만원과 장학 증서를 수여했다. 이진승 교장은 “융합 맞춤형 기술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 맞춤형 프로그램, 전문가 특강과 조언자(멘토링), 현장실습과 직무실습(인턴십)
안녕하세요, 부총리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입니다. 2025년 세 번째 필통톡 레터로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올해는 교육개혁을 완전히 현장에 뿌리내리고, 공교육의 변화를 시작하는 한 해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이를 위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지난 2월 한 달간 신학기 준비 점검단을 운영했습니다. 국가가 방과 후 시간까지 챙기는 늘봄학교, 학생 맞춤 교육을 실현하는 교육의 디지털 대전환, 학생의 특성과 진로를 살리는 고교학점제와 성취평가제 등 교육개혁의 핵심 정책들을 현장에 안착시키고, 학부모님들이 안심하고 자녀를 학교에 보낼 수 있도록 교육 현장을 꼼꼼히 확인했습니다. 먼저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질 높은 돌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늘봄학교는 올해 초등 2학년까지 확대됩니다. 학부모님들도 안심하고 아이들을 맡길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과 함께 다양한 위험 요인들을 면밀히 점검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교육의 디지털 대전환은 교실 수업의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핵심 정책입니다. 학생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수업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지역 간, 학생 간 교육격차 해소까지, 공교육의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 것입니다. 고교학점제도 2025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됩니다
안녕하세요, 부총리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입니다. 2025년 두 번째 필통톡 레터로 인사드립니다. 먼저 다가오는 설 명절을 맞이하여 새해 소망하시는 일들이 모두 이루어지는 뜻깊은 한 해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교육부는 1. 국가책임 교육·돌봄(유보통합, 늘봄학교) 2. 교육현장의 담대한 변화(함께학교, 교실혁명, 입시개혁) 3. 지방과 국가의 동반 도약(교육발전특구, 글로컬 대학, 대학 혁신생태계, 교육부 대전환) 3대 분야, 9대 교육개혁 과제를 선정하고 중점 추진해 왔습니다. 2025년은 교육개혁 과제를 현장에 뿌리내리고 이제 국민이 체감하는 결실로 이루어내야 할 때입니다. 9대 교육개혁 과제가 어떻게 한 아이의 탄생부터 자아실현까지 지원하고 뒷받침하는지 한눈에 보실 수 있는 모션그래픽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우리 아이들 모두를 미래역량을 갖춘 인재로 길러내겠습니다.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하니와 민국이의 행복한 꿈을 지원해요! 교육개혁 9대 과제 https://youtu.be/aw4r862CPeo [대한민국교육신문]
안녕하세요, 부총리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입니다. 먼저,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5년 새해를 맞이하여 첫 번째 필통톡 레터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지난 한 해, 교육부는 3대 분야, 9대 교육개혁 과제를 설정하여 교육 현장에 계신 많은 분들과 소통하면서 주요 정책들의 실행 기반을 착실하게 마련해 왔습니다. 먼저, 저출생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국가책임 교육·돌봄 체계를 마련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가 시작되었고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지원 부처를 교육부로 일원화 하였습니다. 지역이나 소득과 관계없이 공교육 내에서 학생들의 교육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추진하고, 교사 연수와 학교의 디지털 인프라를 개선하여 교실 수업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선생님들이 다른 걱정 없이 아이들에게 역량과 열정을 쏟을 수 있도록 전국 32개 교육활동보호센터를 통해 교육활동 보호에도 계속 전념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여 교육의 힘으로 지역의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을 지정하였고, 라이즈 체계가
다원중학교 (교장 유계형)는 "자율과 협력으로 다함께 성장하는 배움의 공동체"를 비전으로 삼아, 학생들이 소통과 공감을 바탕으로 자신과 타인의 가치를 이해하고 자율성을 갖춘 개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교이다. 다원중학교는 특별히 감성교육, 예술 및 체육 특화 프로그램, 방과 후 동아리 활동 등으로 학생들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다음과 같이 제공하고 있다. 1. 사랑 주간: 친구 사랑의 중요성을 배우고 우정을 키우는 이벤트 와 친구 사랑 표어 만들기 대회 2. 환경교육 프로그램: 잔반 줄이기 캠페인, 환경 골든벨 대회, 화성 생태 여행 기획 3. 다문화 및 국제교류 프로그램: 아시아 27개국 학생들과 실시간으로 교류하며 글로벌 역량을 키우는 활동 운영 , 외국 학교 방문단과의 협력을 통해 전통문화 체험 수업 진행 4. 학생자치 리더십 캠프: 학생들이 협동심과 공동체 의식을 배우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리더십 강화 다원중학교는 이처럼 학생들이 학업뿐 아니라 사회성과 인성을 함께 성장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창의적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유계형 교장은 39년의 교육 경력을 바탕으로 학생 중심의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교육 환경을 만
"20년 교육 전문성에 AI 기술 더했다"... ㈜씨드시스템, 교육의 미래 청사진 제시 ※ 공공 및 대학 사업 주력, 전자출결 1위에서 개인 맞춤형 AI 교육 솔루션으로 도약 2004년 설립 이후 공공 및 대학 사업 분야에서 꾸준한 성장을 이어온 ㈜씨드시스템(대표이사 손석길)이 AI 전문 기업 ㈜AI씨드와 협력하여 AI 교육 시장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8년 전부터 개발하여 100여 개 대학에 공급하며 대한민국 전자출결 시스템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켜온 블루투스 기반 모바일 전자출결 앱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AI 기술을 교육 분야에 접목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씨드시스템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교육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AI 기술 중심의 미래 교육을 선도하고자 AI 전문 회사 AI씨드를 설립했다. 씨드시스템은 그동안 축적해온 교육 분야 전문성과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AI씨드와 공동 연구 및 사업을 추진하며, AI 관련 전문 사업 영역을 AI씨드가 주도하고 씨드시스템이 지원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개인 맞춤형 AI 학습 경험 제공하는 ‘O2ai’ 솔루션 공개 씨드시스템과 AI씨드가 공동 개발한 핵심 솔루션은 개인 맞춤형 AI 교육
부산, 경남 유일의 예술 특성화 대학으로 자리 잡은 부산예술대학교는 독창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으로 학생들의 꿈을 실현시키는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뷰티토탈디자인학과는 예술과 과학의 융합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며 국내외 뷰티 산업을 선도할 멀티 아티스트를 양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예술과 실용의 만남: 소수정예 맞춤형 교육 뷰티토탈디자인학과는 주 3일 수업 체계를 통해 학생들에게 개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다. 소수정예로 진행되는 전공 수업은 학생 한 명 한 명의 특성을 반영하여 세심하게 조율되며, 특히 1:1 방식의 교육은 학생들의 실력을 극대화한다. 단순히 국가고시 대비를 넘어 학생들이 실제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헤어, 메이크업, 네일, 피부, 헤나, 두피 관리 등의 전반적인 실습 수업을 진행하며, 뷰티 업계에서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장 밀착형 실무교육과 창의적 인재 양성 뷰티토탈디자인학과의 교육목표는 예술적 감각을 바탕으로 과학적 이론과 체계적인 실습을 통해 창의적이고 참된 인성을 갖춘 전문 미용인을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졸업생들은 미용 산업뿐 아니라 교육, 창업, 의료 등
[대한민국교육신문] 교육부는 지방시대위원회(위원장 우동기), 광주광역시교육청(교육감 이정선)과 함께 3월 20일, 홀리데이인 광주호텔에서 ‘2024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성과보고회’를 개최한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 정주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지방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자체·교육청·대학·지역기업·공공기관 등이 협력하여 지역 교육을 혁신하는 정책으로 지난해부터 시범지역을 지정‧운영 중이다. 이번 성과보고회는 교육발전특구 운영 우수사례에 대한 시상 및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수사례 선정은 신청한 42개의 특구 중 17개의 특구(1유형 11개, 2유형 4개, 3유형 2개)에 대해 교육발전특구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됐으며, 우수사례로 선정된 특구는 교육부 장관상(교육청-지자체 공동표창) 및 향후 진행될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성과관리 시 가점을 부여받는다. 또한, 교육부는 이번 성과보고회를 통해 지역 주도의 교육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2025년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 추진계획(안)'도 함께 발표한다. 주요 내용은 ①지역 교육혁신을 위한 지자체-교육청 연계 강화, ②예비지역에 대한 추가 평가 계획을 포함한 교육발
전국 시‧도교총회장 협의회 전주에서 열려 전북교총 오준영 회장, 협의회장 선출 현장체험학습 논란 등 교육현안에 시‧도교총 움직인다. 전국시.도교총회장협의회(협의회장 오준영, 이하 협의회)가 14일 글로스터호텔 전주에서 개최되었다. 전국 17개 시‧도교총 회장이 참여한 협의회에서 교총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현장체험학습 중 학생 사고 책임 관련으로 초등교사가 유죄판결을 받은 사안과 관련해 교원의 의사에 반하는 현장체험학습을 반대하는 한목소리를 내고 교원의 안전한 교육활동이 보장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달라고 교육당국에 요청했다. 또 협의회는 교실 내 CCTV를 설치하는 ‘학교안전법 개정안’에 대한 반대 목소리와 수업 방해 학생에 대한 학생 제지‧분리를 할 수 있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에 대한 환영의 목소리도 내었다. 한편 전북특별자치도교원단체총연합회 오준영 회장은 협의회장으로 선출되어 임기를 수행 중이다. 오준영 회장은 한국교총 2030청년위원장, 전북교총 정책연구위원장을 지냈고 작년 전북교총 최초의 40대 평교사 출신 회장으로 선출된 바 있다. 오준영 회장은 “강원현장체험학습 인솔교사 유죄판결, 대전 초등생 피살 사건 등 암울한 교육현안의 지속적 발생으
전국시‧도 교총회장협의회, 글로스터호텔그룹과 회원복지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1. 전국시.도 교총회장협의회(협의회장 오준영, 이하 협의회)와 글로스터호텔그룹(회장 노종호)이 전국 교총 회원을 위한 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에는 협의회장인 오준영 전북교총회장, 총무회장인 강재철 부산교총 회장 등 17개 시‧도교총회장과 노종호 글로스터호텔그룹 회장, 최정환 글로스터호텔그룹 전주 총지배인 등 전국 글로스터호텔그룹 체인 총지배인이 참여했다. 협약을 통해 전국 교총 회원들은 전국 글로스터호텔그룹 체인의 숙박 및 세미나실 대관을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호텔의 교원들을 위한 특별한 이벤트도 제공될 예정이다. 협의회장은 “전국 교총회원들에게 보다 나은 복지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이번 협약을 체결했다.”며 “앞으로도 교원들의 복지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글로스터호텔그룹 회장은 “교육을 위해 힘쓰는 교원들에게 양질의 숙박 및 시설 이용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선생님들을 위한 다양한 혜택과 이벤트를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협약은 교육현장에서 헌신하는 교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대한민국교육신문] 교육부는 3월 11일 서울청사에서 글로벌 역량 강화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과 ‘제70차 함께차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차담회는 글로벌 역량 강화 연수 성과공유회에 참여한 교사들을 초청하여 디지털 교육 관련 국외 동향과 우리 교육의 위상을 공유하고,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에 도전하는 교사들이 상호 협력하며 지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성과공유회(2.27.)에서 영국·미국·싱가포르 등 세계 각국의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동향을 살피고 돌아온 교사들이 “우리가 하고 있는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향이 맞았다, 각국의 교사가 같은 고민을 하고 있구나, 답은 우리 안에 있었다, 겁내지 말고 도전해 보자” 등의 의견을 내었고, 연구회를 통해 다양한 실천 사례를 만들자는 의견을 공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차담회에서는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수업설계’, ‘개념기반탐구학습’ 등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관련 연구회를 결성 및 제안한 사례를 공유한다. 또한, 해외연수의 성과를 관내 전 지역으로 확산시킨 전남목포교육지원청 교육장 등이 참석하여,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의 도전 과제들과 해법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도 할 예정이
[대한민국교육신문] 안산시가 ‘지능형 로봇’을 전략 분야로 설정, 관련 학과를 보유한 지역대학 및 유관기관 등과 협력해 인재 양성 경로를 구축·지원하는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안산시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교육부 주관 직업교육 혁신지구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유일한 선정이다. 직업교육 혁신 지구는 ▲직업계고등학교 ▲지역기업 ▲대학 등 간의 협력을 통해 고졸 인재의 성장 경로를 구축하고,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시는 향후 3년간 총 10억 5천만 원을 지원받게 된다. 직업교육혁신지구 지원센터 구축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뿌리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해 온 안산시는 이번 교육부 직업교육 혁신 지구 공모 선정을 기반으로 지능형 로봇산업의 뿌리도시(root)로 도약하는 길(route)을 만들겠다는 포부다. 구체적으로 시는 ▲관내 6개 직업계고등학교 ▲반월국가산업단지 로봇 관련 기업체 등 관내 기업 ▲한양대 ERICA 등 3개 대학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5개 유관기관 등이 협력해 직업교육혁신지구 지원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중심으로 지능형 로봇 기술 전문가, AI 서비스 활용 전문가
[대한민국교육신문] 충청남도태안교육지원청태안도서관은 3월부터 11월까지 태안도서관 지하 강의실3에서 충남 도민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2025년 태안도서관 인문독서 아카데미’ 행사를 운영한다. ‘2025년 태안도서관 인문독서 아카데미’는 여러 분야의 명사를 초청해 진행되는 강연으로, 독서를 통한 삶의 지혜를 나누고 인문학적 소양을 넓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태안도서관은 3월 20일 김경집 인문학자의 ‘지혜로운 인문학’이라는 주제의 강연을 시작으로 11월까지 매달 새로운 작가가 다양한 주제로 함께 소통하며 뜻깊은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 참여 신청은 매달 1일부터 10일까지 충청남도교육청 평생교육정보시스템을에서 가능하다. 윤병훈 도서관장은 “이번 인문독서 아카데미를 통해 도서관이 지역 사회의 지적 성장을 이끄는 핵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며 “많은 분이 참여해 함께 독서의 즐거움을 나누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태안도서관으로 문의하거나 도서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스출처 : 충청남도태안교육지원청]
[대한민국교육신문] 경기도파주교육지원청은 디지털 학습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학생들의 성장을 위하여 디지털 시민교육 관련 실천학교 18교, AI정보교육 중심학교 4교를 운영하며 교원 역량강화를 위하여 다이나믹(다음, 이음, 나눔, 믹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시민교육은 디지털 시민역량과 디지털 창의역량으로 나누어 학생을 교육한다.'디지털 시민역량교육'은 디지털 사회에 대한 이해와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디지털을 활용하며 공동체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실천하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고 '디지털 창의역량교육'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생산, 활용, 공유하여 사회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역량을 신장하는 것이다. 'AI·정보교육 중심학교'는 정보(실과)교과를 중심으로 AI·정보교육 우수모델을 운영하고 인근 학교 간 AI교육 성과 나눔, 학교 연계 AI교육 체험 캠프 등을 운영해서 지역의 AI교육 문화 조성 및 확산을 위한 모델 및 거점교 역할을 하게 된다. 실천학교와 중심학교의 운영 기간은 3월부터 내년 2월까지이며 디지털 시민역량 실천학교 5교, 디지털 창의역량교육 실천학교 13교, AI정보교육 중심학교 4교
[대한민국교육신문] 방콕, 태국 2025년 3월 15일 -- 태국 화웨이 클라우드(Huawei Cloud Thailand)가 '인텔리전스로 새로운 시대를 연다: 태국의 디지털 물결을 재편하는 화웨이 클라우드(Intelligence Ignites a New Era: Huawei Cloud Reshaping Thailand's Digital Wave)'라는 제하의 기술 포럼을 르네상스 방콕 라차프라송 호텔(Renaissance Bangkok Ratchaprasong Hotel)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 포럼에는 200명 이상의 비즈니스 리더와 기술 전문가가 모여 AI 시대의 데이터 가치를 탐구하고 우수한 AI 기능으로 태국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혁신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제품군을 공개했다. AI 전략: 산업을 강화하는 새로운 엔진 AI가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가운데, 태국 화웨이 클라우드의 셀린 카오(Celine Cao) 최고경영자(CEO)는 "AI는 높은 장벽을 가진 기술이 돼서는 안 된다"며 "오픈소스 협업과 혁신을 통해 모든 국가는 자체적으로 현지화된 지능형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쭐랄롱꼰 대학(Chulalongkorn
[대한민국교육신문]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학생 개개인의 학습을 지원하는 맞춤형 교육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2025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4차 산업혁명 교육 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존의 획일적인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 환경을 구축하여, 모든 학생이 자신의 학습 속도와 수준에 맞춰 최적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계획의 이상은 “학생과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맞춤형 교육혁신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여는 새로운 교육 생태계 조성”이며, △교육 기술과의 상승효과 △맞춤형 학습 경험 제공 △교사 역량 강화 △디지털 생태계 구축이라는 네 가지 핵심 추진 전략을 수립했다. 이를 위해 전국 11개 시도교육청(강원, 서울, 인천, 경북, 대전, 전북, 전남, 광주, 울산, 세종, 제주)과 공동으로 인공지능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AIEP)을 개발하여, 교실 내 온오프라인 연계 교육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학생과 교사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11개 시도교육청 공동 개발 플랫폼과 연계하여 강원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한 강원 특화 서비스를 구축할
[대한민국교육신문] 대구시교육청은 신학기부터 도입되는 AI 디지털교과서 수업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대구 AI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지원 사이트』를 개통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AI 디지털교과서’는 학생 개개인의 맞춤형 학습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미래형 교육 도구로, 학교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초기 단계부터 세밀한 수업 지원과 인프라 기술 유지·관리가 필수적이다. 이에, 대구시교육청은 AI 디지털교과서의 안정적인 도입과 활용을 위해 전용 ‘지원 사이트’를 구축해 교사와 학생들이 AI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준비부터 설계, 적용까지 단계별로 필요한 자료와 교과서별 매뉴얼, 테크센터 기술 지원 연계 등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원 사이트’의 주요 내용은 ▲학생 교육디지털원패스 및 AI 디지털교과서 포털 가입 안내 자료, ▲수업 사례 및 설계 지원, ▲교과별 AI 디지털교과서 활용 영상, ▲교과서 활용 매뉴얼 및 관련 영상, ▲문의 및 장애 지원 신청 등이다. 또, 선도 교원을 중심으로‘AI 디지털교과서 현장지원단’을 구성하여 AI 디지털교과서의 수업 적용 및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와 학교를
교육과 기술의 융합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주)씨드시스템의 자회사인 (주)AIXID가 선보인 **‘O2ai 튜터’**는 AI 기술을 활용한 학습 지원 솔루션으로, 학습자 개인의 특성과 학습 스타일에 맞춘 완전 학습 기반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합니다. 특히, 국가고시를 준비하는 학습자를 포함해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솔루션은 학습자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AI 튜터란? AI 튜터는 최신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학습자와 대화하며 학습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여 개별 학습자를 위한 최적의 학습 경로를 설계합니다. 학습자는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을 강화하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학습 경험을 누릴 수 있습니다. 맞춤형 학습을 넘어선 완전 학습의 실현 O2ai 튜터는 학습자가 학습 성취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도록 설계되어, 완전 학습 원칙을 철저히 준수합니다. 학습 중 부족한 부분은 추가 학습 자료와 개선 방안을 통해 지속적으로 강화됩니다. 주요 기능과 활용 1. AI 기반의 대화형 학습 지원 O2ai 튜터는 학습
AI 기술이 교육의 미래를 혁신하고 있다. 국내 교육 기술 선도 기업인 (주)씨드시스템과 자회사 (주)AI씨드는 AI 기반 지능형 학습 지원 시스템인 O2ai EduBot을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를 위한 차세대 솔루션을 선보였다. O2ai EduBot은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맞춤형 학습 환경을 제공하며,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학습 지원을 실현한다. O2ai EduBot: 학습 경험의 혁신 O2ai EduBot은 E-Learning 콘텐츠와 AI 기술의 결합을 통해 학습 경험을 혁신적으로 개선한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 1. 통합 챗봇 인터페이스: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와 통합된 직관적인 챗봇 UI를 통해 학습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답변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궁금증을 즉시 해결하고, 학습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2. 모바일 학습 지원: 모바일 기기와의 완벽한 연동으로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학습 자료에 접근 가능하다. 이 기능은 특히 유연한 학습 환경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큰 장점을 제공한다. 3. 자동 퀴즈 생성 및 적응형 난이도 제공: AI 알고리즘이 학습 내용을 분석해
(주)씨드시스템은 2024년, AI 기술을 활용한 교육 혁신 솔루션 O2AI 전공튜터 시스템을 통해 대학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특히, AI 기술 개발과 교육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설립한 자회사 (주)AI씨드와의 협력을 통해 교육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 O2AI 전공튜터 시스템, 교육의 미래를 설계하다 O2AI 전공튜터 시스템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학생 개개인의 학습 경험을 개인화하고 교수자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며, 교육 환경 전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실시간 질의응답: 학생들의 학습 중 발생하는 다양한 질문에 즉각적이고 정확한 답변을 제공 2. 맞춤형 학습 경로 제공: 학생의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학습 계획을 제안 3. AI 기반 퀴즈 생성: 학습 내용을 자동으로 분석해 퀴즈를 생성, 학습 복습을 지원 4. 통합 학습 자료 제공: 강의 자료, 참고 자료, 동영상 등 다양한 학습 자료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능 제공 이 시스템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촉진하며, 교수자들에게는 학습 성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반복적인 업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오늘날, 인공지능(AI)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GPT를 비롯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등장은 기업, 대학, 연구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활용의 가능성을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주)씨드시스템은 최첨단 AI 기술을 한데 모은 O2ai GPT 통합 AI 플랫폼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이 플랫폼은 다양한 AI 언어 모델을 통합하여 비용 효율적이고 유연한 AI 솔루션 환경을 제공하며, 사용자와 관리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통합 AI 플랫폼의 핵심: 다양한 언어 모델 지원 O2ai GPT 통합 AI 플랫폼 서비스는 GPT-4, Claude, Gemini 등 최신 유료 언어 모델과 Gemma2, Mistral Nemo와 같은 경량 무료 모델까지 폭넓게 지원합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특정 작업이나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에 따라 최적의 AI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대학 연구팀이 복잡한 데이터 분석에 GPT-4를 활용하거나, 기업의 마케팅 팀이 Claude로 자연스러운 대화형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중소기업이 무료 소형 모델로 비용
[대한민국교육신문] 광진구가 구민들에게 폭넓은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자 ‘2025년 상반기 대학 연계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구민들의 학습 욕구를 충족시키고 보다 풍요롭고 건강한 삶을 지원하기 위해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 세종사이버대학교와 협력하여 기획됐다. 3월부터 6월까지 총 8주 과정으로 진행되며, 개설 강좌는 ▲풍수지리 ▲사주명리학 ▲부동산 경매 ▲드럼 ▲바리스타 등 취미·교양강좌로 구성된다. 과정별 모집인원은 10명에서 20명이며, 수강 신청은 광진평생교육포털을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올해는 평일 야간 및 원격 강의를 확대 운영하여 직장인과 남성층 등 다양한 연령과 계층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참여할 수 있도록 유연한 학습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구민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강좌 개설로 참여율을 높이고 학습한 지식이 일자리 창출, 창업, 사회공헌 등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평생학습 시스템을 구축한다. 구는 이번 상반기 프로그램의 학습 만족도와 수요를 반영하여 하반기 추가 과정을 개설할 계획이다. 각 과정의 세부 교육
[대한민국교육신문] 포천시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임용시험에 평생교육 직류를 신설하기 위한 근거법을 마련했다. 지방공무원 임용령 개정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는 일반직 공무원 직류 신설과 신설 직류의 시험과목을 자치조례로 정할 수 있게 됐다. 이에 포천시는 ‘포천시 공무원 직류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평생교육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공무원 채용을 위한 근거를 마련했다. 시는 기존에는 평생교육 분야의 채용인원을 일반행정 직류에서 선발해 왔으나, 이번 조례 제정으로 평생교육 분야 직류를 신설해 채용 시부터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또한, 전문인력을 확보해 시민들의 평생학습 수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평생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시는 향후 평생교육 분야의 중요성과 전문인력 채용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포럼 등을 개최하며 지속적인 홍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이번 조례 제정은 포천시가 평생학습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평생교
[대한민국교육신문] 마포구는 근거리 학습망을 조성하고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발굴하기 위해 3월 7일까지 ‘실뿌리배움터 공모 지원 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 ‘실뿌리배움터’는 마포구민을 대상으로 하는 ‘동평생학습센터’의 개념으로 평생교육으로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사회 통합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모집대상은 마포구에 소재하는 비영리 기관이거나 평생교육법에 따라 신고된 기관, 평생교육과 관련한 사업을 수행하는 다른 법령상의 평생교육 운영 기관 등이다. 기관은 3회 이상으로 구성한 프로그램 3개 이상을 운영하고 특화 프로그램 및 지역 환원 프로그램을 각 1개 이상을 시행해야 한다. 마포구는 총 8개 기관을 선정해 기관별 운영비를 최대 45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운영비는 강사료와 회의비, 교재비, 재료비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직원 급여나 사무실 임차료, 공과금으로는 지출할 수 없다. 접수가 완료되면 신청 자격 적격 여부와 계획의 타당성 및 실효성, 프로그램 창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하고 지방보조금관리위원회를 거쳐 4월 초 최종 기관을 선정한다. 참여을 원하는
[대한민국교육신문] 강릉시는 27일 오후 2시 강릉시 평생학습관 다목적실에서 ‘2025 강릉시 평생교육협의회’를 개최한다. 협의회는 의장을 비롯하여 11명의 강릉시 평생교육 관계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원들은 2년의 임기 동안 강릉시 평생교육 진흥시책의 수립 및 운영, 평생교육 관련 기관 간 협력 및 지원에 관한 사항 등을 협의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협의회는 ▲2025년도 평생학습관 주요사업 보고 ▲평생학습도시 발전방향 토론 및 의견수렴의 순서로 진행되며, 위원들은 강릉시 평생교육의 진흥을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진다. 김홍규 강릉시장은 “올해는 도배, 타일, 헤어·미용 등 취·창업 연계 전문 직업능력과정과 소상공인 연계 외부강좌 운영 등 수요자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추진할 방침이다.”며, “우리동네 학습나눔터, 마을학습공동체 등 읍·면 지역 거점으로 찾아가는 학습 서비스를 확대 제공하는 등 시민들의 삶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강원도 강릉시]
[대한민국교육신문] 유한대학교는 평생교육원이 지난 12일 부천시에서 열린 2024년 제10회 부천시 평생학습 대상(러닝스타) ‘기획하는 러닝스타 부분’에 선정되어 부천시장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유한대학교 평생교육원은 부천생애학교와 경기도평생배움대학 사업을 통해 지역의 시니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해 왔다. 수준 높은 교육 서비스와 학습자 친화적인 운영으로 매년 높은 호응과 출석률을 보였으며, 수업 만족도 또한 꾸준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수상은 유한대학교 평생교육원이 체계적인 교육과정 기획과 원활한 운영을 통해 지역 사회 평생학습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이다. 또한 평생학습을 통해 시니어 학습자들에게 재취업 및 창업 관련 교육을 제공하고, 경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재창업 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한 점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김태호 평생교육원장은 “제10회 부천시 평생학습 대상의 ‘기획하는 러닝스타’ 부문에서 수상하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다. 특히, 부천시에 감사드리며, 수강 중인 시니어 학습자들과 함께 이 기쁨을 나누고 싶다. 또한 강의를 해주신 교수님들께도 깊은 감사
한국와인협의회가 화신사이버대학교와 협력하여 와인 기초 특강을 개설했다. 이번 특강은 와인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고자 하는 학생들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며, 와인 기초 지식과 다양한 와인 종류, 기초 테이스팅 기법 등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강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와인의 역사, 생산 과정, 그리고 와인과 음식의 페어링에 대한 내용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실시간 강의를 통해 와인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한국와인협의회는 "이번 특강을 통해 와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한국의 와인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평소 와인에 대하여 궁금 하신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강은 화신사이버대학교 공식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hscu)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부산, 2024년 9월 26일 – 한국바리스타협회가 화신사이버대학교와 협력하여 핸드드립 전문 특강을 개설했다. 이번 강의는 바리스타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고품질 커피 추출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강은 단 한 번의 세션으로 진행되며, 핸드드립의 다양한 내용을 다룬다. 강의는 한국바리스타협회 소속의 김영빈 지부장이 직접 진행하여, 영상을 통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수강생들은 다양한 나라의 원두에 대한 정보와 핸드드립의 핵심 요소들을 온라인으로 배우게 된다. 한국바리스타협회 관계자는 "이번 특강은 바리스타 교육의 새로운 장을 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학생들이 커피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춘 바리스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화신사이버대학교도 이번 강의 개설을 통해 학생중심의 교육을 강화하고, 커피 산업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핸드드립 강의는 커피 애호가뿐만 아니라 바리스타로서의 경력을 쌓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유익한 경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특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화신사이버대학교 공식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
[대한민국교육신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은 모든 연령대가 참여할 수 있는 뇌과학 축제‘뇌주간(브레인 위크)’행사를 3월 14일부터 3월 16일까지 3일간 국립중앙과학관 일대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뇌과학을 일상 속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대중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은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작용을 다양한 체험을 통해 알아보고 아직 풀리지 않은 뇌의 신비에 대해 탐구한다. 행사는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된다. 먼저 천재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의 생일(1879년 3월 14일)맞이 생일카페는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며 아인슈타인 관련 상품과 명언 엽서 등을 카페 고객에게 무료로 나눌 예정이다. 카페에서는 카이스트 퍼즐 동아리 퍼플(Puple)에서 개발한 ‘카이스트생과 겨루는 두뇌싸움’퀴즈와 ‘미니 방탈출 시냅스(Synapse)’가 3일 동안 진행되며, 방탈출에 성공한 참가자는 생일카페 음료쿠폰을 증정한다. 3월 15일 토요일은‘뇌에 힘주는 날’로 운영한다. 카이스트 정재승 교수의 뇌과학 강연 뿐 아니라 ‘뇌량 함께(뇌량: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외 구조)’ 연속 강연이 열린다. 강연 이름처럼 뇌과학과 화학, 우주, 진화, 아인슈타인, 공룡
[대한민국교육신문] 민선8기 김포시가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질 높은 돌봄 환경을 만들기 위해 교육발전특구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아동센터 환경개선을 지원한다. 지역아동센터는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지역사회 아동에게 종합적인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복지시설로 현재 김포에 20개의 지역아동센터가 운영 중이며 479명이 이용하고 있다. 김포시는 이 중 설치‧신고 후 운영 기간이 오래된 시설 중 환경개선이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시설 14개소 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여 1개소 최대 1천만원의 비용을 들여 ⯅시설 에너지 효율 개선(조명, 난방 등) ⯅도배 및 장판(마루) 교체 ⯅주방 및 화장실 개‧보수 ⯅아동 안전시설(소방시설 및 석면제거)보수 ⯅단열 보강을 위한 출입문 교체 등의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지역아동센터 환경개선 지원을 통해 해당 센터 14곳의 아동들은 한층 더 쾌적해진 환경에서 돌봄을 받고 학습활동을 할 수 있게 됐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새롭게 단장된 쾌적한 공간에서 미래를 이끌어 갈 아이들의 꿈이 무럭무럭 자라나기를 바라며,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돌봄을 받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
[대한민국교육신문] 대구동부도서관은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지역아동센터 어린이들의 인성 함양과 정서적 안정을 돕기 위해 3월부터 7월까지 상반기 ‘찾아가는 학교 밖 늘봄서비스’를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불로·신천지역아동센터 등 동구 지역아동센터 8곳의 초등학생 1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도서관 전문 강사가 매주 한 번 센터를 방문해 1시간 동안 다양한 독서 활동과 체험을 제공한다. 또한, 어린이들이 언제든 책을 접할 수 있도록 아동도서 100권이 담긴 이동식 책장을 대여하는‘꿈 한 칸 책장’도 함께 운영한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 학생은 “선생님이 그림책을 재미있게 읽어주셔서 이야기에 완전히 빠져들었고, 그림책 속 전통놀이를 직접 만들어 친구들과 체험한 시간이 정말 즐거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도서관 관계자는 “학교 밖 늘봄프로그램을 통해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어린이들이 책과 함께 따뜻한 돌봄을 경험하고, 독서를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반기에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교육청]
[대한민국교육신문] 안산시는 안산시립국악단이 지난 2월 한 달간 관내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추진한 찾아가는 음악회 ‘미니콘서트’를 마무리했다고 6일 밝혔다. 안산시립국악단은 문화예술을 즐길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계층들을 발굴해 매년 ‘찾아가는 음악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미니콘서트’는 지역아동센터의 아동들 대상으로 기획돼 월피맑은샘지역아동센터를 포함한 20개 지역아동센터에서 내원한 아동들에게 맞춤형 국악 수업을 실시했다. 특히, 정통 국악부터 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음악, 아이들 맞춤형 대중가요 등 다채로운 공연과 함께 따라 부르는 민요 수업으로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안산시립국악단은 오는 5월경 관내 초등학교 4~5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찾아가는 교실 음악회’를 추진할 예정이다. 희망하는 학교를 신청받아 선착순으로 진행할 계획으로 자세한 사항은 안산시 문화예술과나 안산시립국악단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이민근 안산시장은 “전통음악을 통해 아이들에게 즐거움과 감동을 선사할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기도 안산시]
부산지역아동센터협의회(회장 이옥)은 부산 내 211개의 지역아동센터를 지원하며 아동복지, 교육, 문화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정책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옥 회장은 최근 대한민국교육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협의회의 주요 활동과 아동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그리고 지역사회의 지원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부산지역아동센터협의회의 주요 활동과 목적 이옥 회장은 "부산지역아동센터협의회는 부산 내 211개의 지역아동센터를 지원하며, 아동복지, 교육, 문화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정책 개선을 위해 설립되었다"고 설명했다. 협의회는 아동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특히 교육과 문화체험을 통해 아동들의 잠재력을 키우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아동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협의회는 여름캠프, 영어 말하기 대회, 역사탐방, 진로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옥 회장은 "영어스토리텔링대회를 13회 진행하면서 아동들이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자존감이 높아졌고, 해외탐방 캠프를 통해 다양한 문화체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여름방학캠프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들이
[대한민국교육신문] 지역사회 공헌을 목표로 한 ‘영어가 있는 날’ 프로그램이 2월 한 달간 평택시 안중푸른학교 지역아동센터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취약계층 청소년들에게 무료 영어교육을 제공하고,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초점을 맞췄다.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2월 4일, 5일, 19일, 26일 총 4회에 걸쳐 진행됐고, 평택영어교육센터 내․외국인 교사와 함께 태양계, 곤충, 음식, 식물 등 다양한 주제를 활용한 흥미로운 주제들로 운영됐다. ▲태양계 팔찌 만들기 ▲나만의 곤충 파우치 제작 ▲일본 디저트 ‘당고’ 만들기 ▲모종 심기 등의 오감 체험형 수업 형태가 학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본 프로그램 종료 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 “영어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었다”라는 긍정적인 반응이 주를 이루었다. 이번 ‘영어가 있는 날’ 프로그램은 취약계층 청소년들의 교육격차 해소에 기여하며, 지역사회 내 지속 가능한 교육 지원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평택시국제교류재단 정종필 대표이사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내 취약
[대한민국교육신문] 장흥군은 7일 군청 상황실에서 지역아동센터 및 드림스타트 사업의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2025년 지역아동센터 운영위원회를 개최했다. 장흥군 지역아동센터위원회는 지역아동센터의 지원 및 발전 방향, 복지자원 발굴을 위한 민·관 협력방안 등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조직되었으며, 아동돌봄시설 관계자, 아동복지 관계자, 교육직 공무원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날 회의는 이천영 장흥부군수 등 7명의 위원이 전원 참석한 가운데 지역아동센터사업뿐만 아니라 지역 내 성격이 유사한 타 위원회에서 드림스타트사업에 대한 사업보고 및 심의가 가능함에 따라 드림스타트사업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에 지역아동센터와 드림스타트사업의 2024년 사업운영 성과 및 2025년도 사업계획 보고와 더불어 2025년 드림스타트 프로그램 수행 사업체를 선정하는 등 취약계층 아동들의 건강한 성장 지원을 위해 노력한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함께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천영 위원장은 “이번 운영위원회를 통한 자문 및 의견을 사업추진 과정에 적극 반영하여 취약계층 아동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Gyeonggi Global Transformation Forum 2024 kicks off at KINTEX in Goyang, South Korea on April 24th Gyeonggi-do Governor Kim Dong-yeon said that the world is in the midst of a great transformation led by AI, and a new order is being created, and proposed 'humanomics' as a new path to lead it. “Advances in technology, including AI, climate chang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politics, and changes in the global economic order are creating a global transition,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responding in various ways,” said Gyeonggi-do Governor Kim Dong-yeon in his opening remarks at the ‘G
On the afternoon of October 22, President Yoon attended the 27th IAVE 2024 Busan World Volunteer Congress in Busan, South Korea, to encourage more than 800 volunteers from more than 90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congratulate them on the hosting of the Congress. The World Volunteer Congress is the only international convention in the field of volunteering organized b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Volunteers (IAVE) and has been held every two years since 1970 in Los Angeles, USA. South Korea's successful bid comes 22 years after the 2002 Seoul edition, and it is also the first time a Sou
Plan to operate an intensive school year for in-depth diagnosis, and collaborate with universities and local organizations to strengthen learning safety net On October 18,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pproved the 'Seoul Learning Diagnosis and Healing Center (tentative name) Basic Plan' as the first step. Through the Seoul Learning Diagnosis and Healing Center (tentative name), the Seoul Learning Diagnosis and Healing Center will strengthen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Seoul Learning Help Center and actively support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obtaining basic education due
Gyeonggi-do and the Gyeonggi-do Institute for Economic Science Promotion held the opening ceremony of the 'Gyeonggi AI Campus' at the Gyeonggi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in Pangyo on the 11th and held a communication meeting. Held under the name 'Gyeonggi-do Youth AI Dream Up,' more than 80 people, including Gyeonggi-do AI Director Kim Ki-byung, Gyeonggi-do Assembly Future Science Cooperation Committee Chairman Lee Ji-young, Vice Chairman Jeon Seok-hoon, Sir Kang Sung-cheon, big tech company education managers, and AI professionals preparing to start their own businesses, attended the
More than 50,000 people attended the S/S 2025 Seoul Fashion Week, Korea's largest fashion festival that showcased the upcoming spring and summer K-fashion trends. The Seoul Fashion Week, which previewed fashion trends for spring and summer 2025, attracted 12,000 people to 24 fashion shows (including off-show) and five brand presentations, and 38,000 people to civic engagement programs such as exhibitions, conferences, and outdoor booths. Seoul Fashion Week, which took place from Sept. 3-7, generated $6 million (about 8 billion won) in orders, the city said. That's a 6.6 percent increase from t
Recertification awarded at the Asia-Pacific Geoparks Network (APGN) Symposium Hantan River Geopark has been recertified as a UNESCO World Geopark. Gyeonggi-do announced on Sept. 19 that the Hantangang Geopark was recertified as a UNESCO World Geopark at the Asia-Pacific Geopark Network (APGN) Symposium held in Cao Bang, Vietnam, from Sept. 8 to 15, and will maintain its official status until 2027. World Geoparks must be recertified through an evaluation every four years. This is the first recertification assessment since the Hantangang Geopark was certified as a World Geopark in 2020. Gyeong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