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한 잔의 가치는 그것을 마시며 나누는 대화에서 비롯된다 – 데이비드 린치 - 커피 한 잔을 앞에 두고 대화를 나누다보면 오고가는 말의 온도에서 나와 결이 맞는지 알 수 있다. 커피도 그러하다. 커피를 한 모금 입에 넣으면 나와 결이 맞는지 그렇지 않은지 알 수 있다. 산미가 있어 나와는 결이 맞지 않다고 느껴지는 커피, 쓴맛이 강해 내 스타일이 아니라고 느껴지는 커피. 오늘은 커피의 결을, 나에게 맞추는 레시피를 배우는 브루잉 수업이 있는 날이다. 내리쬐는 햇볕과 열기로 가득 찬 길을 가로질러 양손에 원두 박스를 들고 학원 본관 건물에서 별관으로 이동한다. 브루잉 수업에 필요한 기물들을 준비해 놓고, 에어컨의 온도를 확인하고 수강생들을 기다리며 오늘 브루잉 수업엔 어떤 원두를 사용할까 살펴본다. 박스 안에 로스팅 일자, 생산지역, 가공방식, 배전도가 적혀있는 원두 봉투들을 보니 ‘오늘은 인도네시아로 커피 여행을 떠나 볼까’ 싶은 생각이 든다. 수업 시간이 되고 수강생들과 인사를 나눈 후 물줄기 연습으로 수업을 시작한다. 조용한 강의실은 드리퍼 안에 닿는 물 소리, 서버를 통해 흐르는 물소리로 작은 개울들이 생긴 듯하다. 10분쯤 지나니 “선생님, 힘들어
아메리카노와 라떼 밖에 모르며, 커피를 시작했던 것처럼 아무것도 모르고 글쓰기를 시작한 나. 그런 나의 도전을 기꺼이 도와주시겠다고 손을 잡아주신 스승님이 계신다. 책 읽을 시간도 없이 하루를 사는 나에게 글쓰기는 무모한 도전이었을까? 자신감으로 채워진 글을 쓰고자 생각했던 처음 마음, 그 마음은 시간이 갈수록 일상생활에 치여 점점 힘을 잃어간다. 그런 제자를 말없이 지켜보시며 힘을 내라고 선물을 보내주신 분, 그리고 칼럼니스트가 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도 해주시는 스승님.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나에게 던져주신 그분의 질문이다. 세상 살면서 쉬운 일이 뭐가 있을까? 제일 잘하는 일이 뭔가? 그 질문에 나는 커피 공부를 했던 지난날을 되돌아본다. ‘커피 공부하면서 쉬운 게 뭐였을까?, 제일 잘 하는 게 뭘까?’ 여전히 쉬운 것 없고, 잘 한다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게 떠오르지 않아 머뭇거리는 나를 가만히 살펴본다. 에스프레소 머신을 작동시키는 것이 쉽지 않았고, 컵 안에 하얀 하트를 띄우는 것도 어려웠다. 커피의 향미를 제대로 느끼고 말로 표현하는 것, 생두가 가진 향미를 로스팅으로 살려내는 것은 나에게 불가능한 일로 생각될 때도 있었다. 열기가 느껴지는 덩
“강사님은 커피 매일 드시는데 괜찮으세요?” 수업하다 보면 수강생들에게 자주 듣는 질문이다. 카페인에 민감해 커피를 마시면 잠 못 자는 사람, 바로 나다. 그런 내가 커피를 가르치는 일을 하니 괜찮을 리 만무하다. 특히 브루잉 수업과 센서리 수업을 하면 하루에 마시게 되는 커피의 양이 4잔 이상이 된다. 브루잉 수업에서는 수강생들이 추출한 커피 맛을 보면서 레시피 수정을 도와줘야 해서 커피를 많이 마시게 된다. 센서리 수업은 수강생들이 느끼는 커피의 향미, 내가 느끼는 커피의 향미를 서로 조율을 해가며 객관화를 시키는 과정을 거쳐야해 다른 수업들보다 유독 커피를 많이 마신다. 그중 에스프레소 센서리를 수업하는 날은 온 몸의 세포 하나하나가 카페인을 흡수한 듯한 느낌이 들곤 한다. 그래서 그 날은 아무리 피곤해도 잠을 이루기 쉽지 않다. 수업이라 어쩔 수 없이 커피를 많이 마시게 되지만 카페에서 에스프레소를 주문한다면 말 한마디로 카페인을 적게 섭취할 방법은 있다. 가장 쉬운 방법은 디카페인 커피를 주문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가 더 있다. 사람들은 흔히 에스프레소에 물을 넣어 희석한 아메리카노가, 핸드드립으로 추출한 커피가 카페인이 적을 것으로 생각한다. 수업
“강사님은 처음부터 커피 잘 했어요?” “하트가 너무 안 나와요.” 라떼아트를 연습하던 수강생이 살짝 풀 죽은 목소리로 묻는다. 사람들 앞에서 가르치는 일을 하다 보니 그 수강생 눈에는 내가 처음부터 잘 하는 사람으로 보였을 수도 있겠다. 그런 말을 하는 수강생들에게 나는 늘 “에이. 아니죠. 저도 처음엔 못했죠. 누가 처음부터 잘 하나요? 지금 ㅇㅇ님은 그때 저에 비하면 잘 하시는 거예요. 연습 더 꾸준히 하시면 돼요.”라며 위안의 말을 건넨다. 시간이 흐르면 당연히 잘 하고 성장하는 것이 있을까? 주말, 산에 오르면서 눈에 들어오는 나뭇잎들, 쨍하도록 푸르른 잎을 보면 나무들이 성장하는 치열한 소리가 들리는 듯한 날이 있다. 수강생이 나에게 한 질문이 생각나 피식 웃으며 나무에게 건네 본다. “나무야, 너는 처음부터 광합성을 잘 했니?” 그러면 나무는 이렇게 대답하지 않을까? “잎을 피워내는 것도 어려운데 광합성이 쉬웠겠니?” “뿌리로 세차게 영양분을 흡수하고 온 잎을 잔뜩 펴 햇빛 받으며 광합성도 해야 하고, 해충의 공격을 막아내기 위해 치열하게 피토케미컬 물질을 만드는 중이야. 이렇게 나를 지켜내며 조금씩 매일 성장하고 있는 거야.” 수강생의 질문을
“네가 이렇게 힘든 아이였어?” “너 참,어려운 아이구나." 편하게 보고 싶을 때만, 꼭 봐야 할 때만 보면 되는 너였는데, 너를 제대로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에 네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보기로 마음을 먹고 공부하면서 든 생각은 너 참... 쉽지 않은 아이구나. 커피가 그랬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한 잔이요.” 하면 바리스타는 원두를 그라인더에 갈고, 포터 필터 안에 담고, 꾹 눌러 에스프레소 머신 버튼 하나 누르면 나오는 에스프레소. 그 에스프레소를 얼음 컵에 담아 건네주면 받아서 마시기만 하면 되는 아주 쉬운 아이가 아이스 아메리카노였다. 손님인 내 입장에서 바라보는 아메리카노는 카페에서 별생각 없이 주문하는, 만드는 것도 어려워 보이지 않는 음료였다. 주문과 동시에 빠르게 만들어져 나오는 아메리카노를 받아 카페 한 곳에 자리 잡고 들려오는 음악과 함께 즐기면 되는 편한 아이. 그런 쉽고 편한 아이를 배워 나중에 내 카페를 만들어볼까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커피를 배우기 시작했다. 커피에 대해 아는 거라곤 아메리카노, 라떼가 전부인. 커피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나는 아이스 아메리카노부터 만들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바리스타 스킬부터 배우기 시작했
누군가를 이해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누군가를 이해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이해는 나의 시선과 관점이 타인을 향해 있어야만 가능한 것 같지만 실은 나 자신을 온전히 이해하고 사랑하는 시선으로 바라본 후, 그 시선을 돌려 타인을 긴 시간 바라볼 수 있는 인내심이 필요한 과정이 아닌가 한다. 자신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고 바라보기 쉽지 않으니 타인을 편견이 없이, 오해 없이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이해한다는 것은 당연히 어려운 일일 것이다. 가끔 타인을 이해할 수 없는 수준을 넘어 오해한다는 생각이 들 때면 내가 그 사람의 생각을, 삶을 이해할 만큼의 경험치가 부족하거나, 나의 생각의 틀 안에서 상대를 바라보고 판단하거나 평가하려고 하고 있는 건 아닌지 나 자신을 다시 들여다본다. 커피가 나에겐 그러한 타인이다. 사람을 알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그 사람의 이름, 나이, 고향, 성격 등을 알고 관계를 이어가면서 생각, 가치관, 삶에 대한 태도 등도 알아가듯이 한 잔의 컵에 담긴 커피의 향미도 제대로 이해되려면 커피가 되기 전 생두, 원두부터 알아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어느 나라에서 온 생두인지, 생산된 지 얼마나 되었는지, 로스팅은 어느 정도인지, 언제 로스팅이